목차
Luckfox Pico
는 올해 퀄컴
과 ARM
의 소송 사태로 일반인들도 개방형 아키텍처의 중요성을 체감할 만한 수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RISC-V
기반 소형 개발 보드입니다.

RISC-V
는 개방형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 Instruction Set Architecture(ISA)
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기존의 폐쇄형 ISA
들과는 달리, 오픈소스 마냥 RISC-V
는 라이선스 비용이나 특정 업체에 종속되지 않아 다양한 분야에서 채택되고 있으며, 단순하고 모듈화된 설계 덕분에 확장성과 효율성 측면에서도 인기가 많습니다.
알리등에서 무려 AI 개발 보드
라는 이름으로 과장이 심하긴 하나 요즘 나노 KVM
과 같은 핫한 물건들 부터 저렴한 개발 보드 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시리즈가 되었습니다.
간이 웹서버들로 유명한 esp32
처럼 대중적인 제품이 아닌 Rockchip
시리즈다 보니 에뮬 게임기가 아닌 이상 만나기 어려운 보드였겠지만 PS4
탈옥 덕분에 저도 한번 다루어 보게 되었네요.
따라서 Luckfox Pico
모델 중 가장 상위 모델인 Max
와 Mini
모델에 펌웨어를 직접 설치하게 되었으니 이때 정리해 둔 과정을 한번 소개시켜드리겠습니다.

특히나 제 경우에는 LuckFox Pico Max
를 구매했던 시기가 초창기 출시 버전이라 펌웨어가 설치되지 않은채로 배송이 되는 등의 문제가 좀 있었습니다.
이렇게 기기에 펌웨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직접 펌웨어를 설치했었어야 하는데, 지금은 시대가 바뀌어 펌웨어 버전 11의 탈옥만을 위한 용도라면 PPPwn-LuckFox
이미지 설치만으로 작업이 가능합니다.
그러니 여기서부터 진행 할 펌웨어 설치
과정은 예전엔 이런 것도 할 뻔 했구나~! 하시고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현재는 애초에 기기에 펌웨어가 설치되어 배송되기도 하고 설치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으니 굳이 지금은 직접 여러분이 펌웨어를 다시 설치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1. LuckFox Pico 시리즈의 드라이버 설치

먼저 LuckFox
의 펌웨어 이미지 설치를 위한 툴은 Luckfox Wiki 사이트에서 참고해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향후 반드시 PS4
가 아닌 간이 웹서버 등으로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참고 정도는 될 것 같습니다.
먼저 RK
로 명명되어 보이고 있는 Rockchip
시리즈는 Allwinner
등과 함께 저가형 보드에 자주 쓰이는 칩셋이니 만큼 드라이버 지원이 깔끔한 편입니다.

공식 사이트의 Flash Images
가이드 중간 쯤 보면 위와 같이 LuckFox Pico
시리즈 용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는 링크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해당 링크를 눌러 파일을 다운받고 Rockchip
에 맞는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겠습니다.

설치 파일의 압축을 풀어 보면 위처럼 Driverinstall.exe
파일이 보입니다.

드라이버 설치는 특별할 것도 없이 간단하게 Install Driver
만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

잠시 후 위와 같은 알림 메세지 창이 나타나면 설치
를 눌러 드라이버를 설치해줍니다.

공식사이트의 메뉴얼에서 제공하는 것처럼 Rockchip
용 드라이버가 PC
에 설치 완료되었습니다.
2. Flashing tool(SocToolKit) 다운로드

다음은 Luckfox
보드에 이미지를 플래시하기 위한 SPI NAND Flash
툴의 다운로드 역시 진행해야합니다.

다운로드 받은 SocToolKit
파일의 압축을 풀면 위처럼 여러 파일이 보이지만 윈도우 버전이니 exe
파일만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공식 가이드에 따라 SocToolKit
실행시 반드시 마우스 우클릭 이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해야만 합니다.


다음은 윈도우의 PC 보호
창이 나타납니다.
중국산이긴 하나 Luckfox
의 신뢰할만한 프로그램이니만큼 추가정보
를 눌러 바로 실행
버튼을 선택
하겠습니다.
3. 펌웨어 파일 설치

펌웨어 설치 프로그램인 Rockchip SocToolKit
이 실행된 모습입니다.
화면의 구성 자체는 몹시 간결합니다.
기본 설정을 보자면 레트로 게임기에 정말 많이 장착되고 있는 락칩의 대명사!
무려 RK3566
의 다음 타자로 점쳐지고 있는 RK3588
이 보이게 됩니다.
Luckfox
기기 자체가 몹시 간단한 AI
처리용으로 출시된 저가형 기기인만큼 언젠가 다른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지만 워낙 성능이 낮은데다가 당장은 큰 의미가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설치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우선 보드에 달린 BOOT
버튼을 누른 채로 USB
케이블로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연결 이후 BOOT
버튼을 떼면 Rockchip
플래싱 도구에 MaskRom
장치로 표시됩니다.

정상적으로 인식된다면 위와 같은 상황이실겁니다.
다음은 칩 선택 화면으로 지원목록 아래를 살펴보면 Luckfox Pro/Max
의 경우는 RV1106
이라는 칩셋을 사용중이니 이를 선택하도록 하겠습니다.
연결된 USB
의 경우 자동으로 선택 되는데 사진의 제 경우는 Maskrom 41
이군요.
여기선 반드시 기종별로 설치된 칩셋을 미리 선택해야하는데 Max
의 경우는 RV1106
하위 Pico
모델의 경우는 RV1103
을 선택해야합니다.

참고로 RV1103
은 Luckfox
일반 pico
시리즈들 용이니 실제 성능을 떠나서 Pro/Max
가 확실히 모델중엔 칩셋이 확실히 분류된 상위 모델이긴 한가 봅니다.


다음은 다운로드 탭
좌측 상단의 USB
를 선택하고 현재 Luckfox
가 연결된 경우 선택 가능한 이름이 보이게 됩니다.
이제 USB
를 이용한 펌웨어 설치를 위한 준비는 모두 끝났으니 보드를 PC
에 USB 케이블
을 이용해 연결해줍니다.
다음은 실제로 Luckfox
보드용 펌웨어를 구하러 가보겠습니다.

희한하게도 Luckfox
의 펌웨어들은 위 구글 드라이브
링크에서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 공식 펌웨어의 경우 buildroot
버전을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각각 모델에 맞는 펌웨어를 다운로드하면 되는데 우리는 Pro_Max
로 끝나는 위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도록 하겠습니다.
각 이미지는 Flash
버전이 따로 존재하는데 이는 보드 자체에 내장 플래시 메모리를 가졌느냐의 차이로 좀 더 저렴한 모델들인 경우 SD 카드
로 구동한다면 MicroSD
버전을 다운로드하셔야합니다.


우측 하단에 다운로드 메세지가 나타나니 모델에 맞는 버전인지 주의해서 살펴보도록 하고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압축을 풀어줍니다.

다음은 아래의 초기화 설정인 (1) reset
을 체크하고 (2) Select Path
를 눌러 펌웨어 파일을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미리 다운로드 받았던 (3) Luckfox_pico_Pro_Max_Flash
폴더를 (4) 선택
해줍니다.

환경설정을 다시 읽어오겠느냐 묻습니다.
고민 없이 Yes
를 눌러주시면 설치 img
파일을 읽어 패키지 목록처럼 설치에 필요한 파일 목록을 준비하는 것 같습니다.

다음은 (1) 전체선택
을 체크해주시고 아래의 (2) Download
버튼을 선택해줍니다.
하단에는 reset
이 체크되어 있어 아마도 초기화 후 설치해버릴 것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화면이 비활성화 되면서 펌웨어 설치에 필요한 다양한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는 것으로 보이는데 위 다운로드는 보드에 다운로드 받는다는 의미로 보는게 맞겠습니다.
각 파일들의 이름만 보면 설치에 필요한 파티션들을 각각 이미지로 쪼개 놓은 것 처럼 보이는군요.


그리고 잠시 기다려주시면 다운로드가 완료되었다는 메세지와 함께 비활성화 되었던 화면이 풀려나면서 설치가 완료됩니다.
몹시 간단한 작업으로 기기에 다양한 펌웨어를 올려 볼 수 있겠습니다.
사실 펌웨어 설치보다 골치아팠던 부분은 PC
와 랜 포트가 아닌 USB C 타입
으로 연결하고 ssh
로 연결하는 과정이었습니다.
4. PC에서의 ssh 연결

유선 랜 포트
가 달린 모델들은 물론 랜 포트가 없더라도 어떻게든 기기와 연결이 가능해야 기기와 소통이 가능해야합니다.
Luckfox
시리즈의 경우 가상 랜을 지원하며 펌웨어 내부에서 기본적으로 고정 IP(172.32.0.93)
를 설정하고 있어 이를 통해 ssh
혹은 telnet
등의 프로토콜을 이미 지원하고 있어 기기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자연스럽게 바로 가능한 것은 아니기에 ssh
연결을 위해서는 윈도우의 시작
메뉴에서 네트
만 검색해도 나타는 위 네트워크 연결보기
메뉴로 진입해야합니다.

새로운 이더넷 포트가 보이실텐데 Remote NDIS based Internet
이란 가상 네트워크 장치가 보입니다.
위 장치가 바로 USB C 타입
케이블로 PC
와 연결된 Luckfox
의 가상 랜 설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식 가이드에 따라 추가적으로 위 네트워크 설정에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4(TCP/IPv4)
의 IP 대역 설정
이 필요합니다.
내부적으로 펌웨어를 설치하면 LuckFox Pico
및 Luckfox Pico Plus/Pro/Max
모델들은 USB 가상 랜
을 통해 172.32.0.93
의 고정 IP 주소
를 할당 받습니다.
기본 펌웨어인 buildRoot
이 아닌 예를 들어 타 OS 우분투를 설치할 경우라면 172.32.0.97
이 할당됩니다.

그러나 이더넷 설정에는 럼 고정 IP
가 아니라 위 사진처럼 172.32.0.100
을 입력해줍니다.
다음은 바로 아래의 서브넷 마스크로 특별한 설정 없이 기본 값인 255.255.0.0
을 입력하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설정이 완료되어 IP
와 서브넷
을 설정했다면 이제 ssh
연결이 가능한 툴을 이용해 실제로 Luckfox
에 접속해보겠습니다.
기본 펌웨어를 설치했다면 원격 경로는 172.32.0.93
이란 IP
를 입력하게 됩니다.
이때 로그인 정보가 필요한데 접속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root:luckfox
우선 기본 아이디인 root
를 입력하겠습니다.

그리고 다음은 비밀번호 입력으로 기본 비밀번호인 luckfox
를 입력해줍니다.

위처럼 로그인에 성공하고 화면이 나타나면 ssh
접속까지 완벽하게 성공한 것 입니다.
가장 성능이 좋은 Max
모델은 PS4
탈옥 용으로 지인에게 선물하고 Pico Mini-B
모델하나는 남는 PS4
에 내장시켜버렸는데, 여분으로 Pico Mini-B
의 사용성을 두고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진 PS4
외에 다른 재미요소!?
를 찾진 못했지만 워낙 작고 귀여워서 나중에 미니 장비를 뭔가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비해서 워낙 아직까진 쓰임새가 많은 물건은 아니어서 일반적인 경우라면 추천을 드리긴 어렵고 펌웨어 11이하 PS4
같이 제한적인 경우에나 추천드릴 수 있겠습니다.
5. 한가지 주의사항

본 포스팅을 작업하기 위해 회사와 자택에서 자료를 정리하다 보니 발견한 문제가 있습니다.
펌웨어 설치를 위해 PC
와 연결할 때 플래싱 툴에서 어째선지 USB
선택 메뉴에 MaskRom
인식이 안된다면 정말 난감합니다.
Adb Device
로 잡힌채로 adb shell
연결은 가능하나 MaskRom
이 안보이니 이후 펌웨어 설치를 진행하질 못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가상랜이 잡히긴 하나 LTE
모뎀이 달린 노트북에서 어째선지 죽어도 인식이안되더군요.
이때 드라이버도 직접 지정해주고 아예 삭제 후 재설치를 해도 안되어서 결국 다른 유선 데스크탑에서 인식에 성공한 사례가 있으니 꼭 참고해주세요.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